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15

건강 식단 관리프로그램 '메뉴젠'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식품영양 정보와 음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건강식단 관리 프로그램인 메뉴젠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메뉴젠(MenuGen)은 농촌진흥청에서 2004년 식단관리, 영양분석과 영양교육 상담 등에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을 도울 목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식단 (Menu)과 창조(genesis)를 조합해 만든 단어입니다. 메뉴젠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식당을 국가표준 식품성분표와 연계해 영양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바탕으로 1일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는데 활용됩니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은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20 공공데이터 뉴딜 사업을 통해 서비스 품질 개선을 추진하게 되었고 농촌진흥청 연구로 확보된 음식 정보를 재가공해 메뉴젠 음식 데이터베이스를 2,489건으로 확.. 2021. 4. 13.
이젠 농사도 인공지능으로! 작물생육 측정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에서 농협 현장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력, 데이터 등을 새로운 비즈니스 혁신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농업 R&D 통합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여겨 스마트팜 주요 작물중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의 생육지표에 대한 측정을 영상데이터를 기번으로 측정할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작물의 생육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용 인공지능 작물생육 측정시스템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총 102,372건을 딥러닝 알고리즘(R-CNN)을 적용한 시스템입니다. 작물생육 분석 플랫폼을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앱 및 사용자 매뉴얼 개발과 보급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작물의 영상을 찍으면 생장 길이, 줄기, 두께, 잎의 면적 등 작물별 대표.. 2021. 3. 26.
영양성분 분석 기록 '농식품 올바로' 사이트 식단표 만들때 편리 국립농업과학원이 농식품 영양성분 데이터 분야 최초로 국가참조표준데이터센터로 지정됐습니다. 농촌진흥청은 1970년부터 식품 원료와 음식 영양성분을 분석해 기록한 국가표준식품성분표를 발간하고 5년 단위로 개정해왔습니다. 2019년부터는 농식품올바로을 통해 국가표준식품성분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고, 지난해 공개한 데이터베이스 9.2에는 식품 3,088점 등 총 20만 7,041건의 식품 성분 정보가 수록돼 있습니다. 식품 성분 정보는 보건복지부의 국민 영양 관련 정책, 교육부의 학생급식 계획,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실태조사, 농림축산식품부의 식생활교육정책 등 식품 영양 정책 수립과 추진을 위한 기반자료, 국민의 식생활 관리, 산업체의 식품 개발, 포털사이트의 식품 영양정보 제공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1. 3. 23.